반응형 공무원 이야기190 공무원의 성과 - 보수성과심의위원회(성과상여금 지급 관련 심의)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성과상여금 등) 지난 포스팅2025.02.03 - [공무원 이야기] -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성과상여금) 지급제외대상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성과상여금) 지급제외대상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성과상여금 등) 지난 포스팅https://wkqtkdtlr.tistory.com/439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 지급대상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성과상여금 등) 지난 포스팅httwkqtkdtlr.tistory.com 지난 포스팅 내용 중 징계 처분을 받은 자는 성과상여금을 받을 수 없지만, 견책의 경우 그 징계의 사유가 업무와 관련성이 없는 등, 그 징계의 사유가성과상여금까지 지급하지 않기에는 너무 과한 경우 "보수성과심의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견책 .. 2025. 2. 6.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성과상여금) 지급제외대상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성과상여금 등) 지난 포스팅2025.02.01 - [공무원 이야기] -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성과상여금) 지급대상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 지급대상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성과상여금 등) 지난 포스팅https://wkqtkdtlr.tistory.com/438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 성과상여금의 지급 총론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성과상여금) wkqtkdtlr.tistory.com지난 포스팅까지는 성과금을 지급하는 대상이 누구인지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성과금을 지급하지 않는 "제외대상"이 누구인지 알아볼 것이다. 특별히 언급할 내용은 없으므로 바로 내용으로 들어가보자. 아래의 글을 읽기 전에 한가지 전제를 두고자 한다. 편의상 성과금에 .. 2025. 2. 3.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성과상여금) 지급대상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성과상여금 등) 지난 포스팅https://wkqtkdtlr.tistory.com/438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 성과상여금의 지급 총론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성과상여금) 지금까지 여러 수당들을 다뤘지만, 딱 하나 다루지 않은 수당이 있다. 그것은 바로 "성과상여금"이다. 성과상여금 역시 수당의 일부임에도 이wkqtkdtlr.tistory.com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제7조의2(성과상여금 등) ① 소속 장관은 별표 2의2에 따른 공무원 중 근무성적, 업무실적 등이 우수한 사람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성과상여금을 지급한다.성과금은 별표 2의2에 따른 공무원에게만 지급한다. 적용대상공무원은 이전 포스팅에서도 알아본 바와 같이 별표 2의2를 따른다. 이 중 .. 2025. 2. 1. 공무원의 성과 - 성과금, 성과상여금의 지급 총론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의2(성과상여금) 지금까지 여러 수당들을 다뤘지만, 딱 하나 다루지 않은 수당이 있다. 그것은 바로 "성과상여금"이다. 성과상여금 역시 수당의 일부임에도 이렇게 따로 카테고리를 두는 이유는 우선 보수지침에서도 다른 수당들과는 달리 성과금은 따로 새로운 챕터로 구분하고 있는 것도 있고, 다른 수당들과는 달리 개개인의 계급, 호봉, 근무경력과 관계되지 않고 근무평가와 마찬가지로 성과와 관련된 평가를 받고 그에 따라 차등 지급받는다는 점에서 다른 수당과는 아주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다른 수당과는 달리 성과상여금이 갖추어야 할 덕목이 하나 있는데, 바로 "공정"이다. 수당의 지급에 평가가 들어간다는 말은 인사고과만큼이나 공정해야 하므로, 아무래도 규정이 복잡할 수 밖에 없.. 2025. 1. 31. 공무원의 수당 - 한시임기제공무원에 대한 수당 지급 방법(25. 1. 23. 개정) 제22조의2(한시임기제공무원에 대한 수당등의 지급) 여러 임기제공무원의 종류 중 마지막인 한시임기제공무원의 수당등의 지급방법에 관한 이야기이다. 「공무원임용령」에 따르면, 본래는 육아휴직을 하거나 30일 이상의 병가, 특별휴가를 사용하는 공무원 또는 시간선택제로 전환하는 공무원이 발생하면 이를 보전하기 위해서 한시임기제공무원을 1년 6개월 이내의 기간 동안 임용하여 이를 대신하도록 하고 있다. 공무원임용령제3조의2(임기제공무원의 종류)4. 한시임기제공무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무원의 업무를 대행하기 위하여 1년 6개월 이내의 기간 동안 임용되는 공무원으로서 법 제26조의2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는 임기제공무원가. 법 제71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휴직하는 공.. 2025. 1. 28. 공무원의 수당 -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에 대한 수당등의 지급 방법(25. 1. 23. 개정)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22조(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및 시간선택제근무를 하는 공무원에 대한 수당등의 지급)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시간선택제 공무원 중 임기제가 아닌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시간선택제공무원 중 임기제공무원에 대한 수당등의 지급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https://wkqtkdtlr.tistory.com/429 공무원의 수당 -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의 수당 지급 방법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22조(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및 시간선택제근무를 하는 공무원에 대한 수당등의 지급) 「공무원임용령」에 따르면, 일부 공무원은 하루 8시간보다 적은 시간을wkqtkdtlr.tistory.com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제22조(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및 시간선택제근무를 하는 공무원에 대.. 2025. 1. 23. 이전 1 2 3 4 5 6 ··· 3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