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위공무원단8 고위공무원의 임용 - 선발시험위원회의 시험 방식, 합격자 결정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4조의2(시험위원회의 구성·운영) 고위공무원단 선발시험위원회 구성, 운영에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고위공무원의 임용 - 선발시험위원회 구성, 운영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4조의2(시험위원회의 구성·운영) 고위공무원이 되려면 정말 위원회를 몇 개를 거쳐야 하는지도 기억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이번엔 시험을 실시했으니 그 시험을 운wkqtkdtlr.tistory.com 위원회 구성까지 마쳤다면, 본래의 업무인 시험을 실시한다. 시험의 방법에 대해서 응시자의 입장에서는 해당 포스팅에서 다루었고, 이번의 시험에 관한 이야기는 위원회의 입장에서 준비할 것들을 이야기한다. 먼저, 소속 장관은 응시자의 자격 및 직무 수행 요건 등 심사절차, 평가요소별 질문내용 .. 2024. 5. 6. 고위공무원의 임용 - 선발시험위원회 구성, 운영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4조의2(시험위원회의 구성·운영) 고위공무원이 되려면 정말 위원회를 몇 개를 거쳐야 하는지도 기억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이번엔 시험을 실시했으니 그 시험을 운영할 위원회를 구성, 운영하는 이야기이다. 이젠 정말 끝인 것 같은가? 아직 고위공무원임용심사위원회에도 오지 못했다. 잡담은 각설하고 우선 선발시험위원회에 관해 알아보자.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제14조의2(시험위원회의 구성ㆍ운영) ① 소속 장관은 제14조에 따른 채용시험을 실시하려는 경우에는 임용예정 직위별로 필기시험ㆍ서류전형은 2명 이상, 면접시험은 5명 이상의 시험위원으로 이루어진 시험위원회를 구성ㆍ운영하여야 한다.② 시험위원은 임용예정 직위와 관련된 분야 또는 채용ㆍ면접 등 시험에 관한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소.. 2024. 5. 3. 고위공무원의 임용 - 시험의 방법, 시험의 응시요건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3조(일반직 고위공무원의 경력경쟁채용등의 요건), 제14조(일반직 고위공무원의 경력경쟁채용시험등의 방법) 제13조는 조문 부제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일반직 고위공무원 → 고위공무원단으로 채용하는 것이므로, 형식은 경력직의 채용과 같다. 그렇기에 경력경쟁채용을 다룬 「국가공무원법」 제28조(이하 "경채 규정")를 기본적으로 따르고 있다. 따라서 아래 포스팅을 반드시 읽어보길 바란다. 공무원의 임용 - 경력경쟁채용시험(경채)국가공무원법 제28조 제2항(경력경쟁 신규채용) 국가공무원법 제28조(신규채용)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경력 등 응시요건을 정하여 같은 사유에 해wkqtkdtlr.tistory.com「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3조에.. 2024. 5. 2. 고위공무원의 임용 - 선발시험 총칙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3조 내지 제15조 지금부터는 선발시험에 관한 내용으로 많이 복잡해진다. 기본적으로 조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4조(일반직공무원 시험), 제14조의5(임기제공무원 시험), 제15조(별정직공무원 시험)으로 시험의 대상에 따라 그 방법을 나누어 놓았으며, 이 시험을 볼 수 있는 요건 또한 제13조, 제13조의2의 각 호로 구분해 놓았다. 따라서 우선 시험의 전반적인 내용을 먼저 언급하고 이후 각각의 시험의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국가공무원법제28조(신규채용)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경력 등 응시요건을 정하여 같은 사유에 해당하는 다수인을 대상으로 경쟁의 방법으로 채용하는 시험(이하 “경력경쟁채용시험”이라 한다)으로 공무원을 채용할 .. 2024. 4. 30. 고위공무원의 임용 - 역량평가, 면제대상, 면제요청(4급 이하 포함)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9조(역량평가) 국가공무원법제2조의2(고위공무원단) ③ 인사혁신처장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이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고위공무원단 직위에 임용되려는 자를 평가하여 신규채용ㆍ승진임용 등 인사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고위공무원단후보자에게는 사실상 선발시험과 다름 없는 역량평가에 관한 이야기이다. 국가공무원법에서는 고위공무원단 직위에 임용되려는 자를 평가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역량평가를 실시하게끔 하고 있다. 강행규정, 무조건 지켜야 할 규정은 아니지만, 사실상 고위공무원단 공무원이 되려면 면제가 되는 몇가지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조건 역량평가를 통과하여야 한다. 공무원임용령제10조의3(역량평가의 실시 및 활용) ① 소속 장관은 소속 공무원이 직무를 성공적으.. 2024. 4. 24. 고위공무원의 임용 -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후보자 교육과정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8조(고위공무원단후보자 교육) 고위공무원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고위공무원의 임용 - 고위공무원단이란?국가공무원법 제2조의2(고위공무원단), 제28조의6(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으로의 임용 등) 지금까지 임용과 관련하여 일반공무원 공개채용, 경력채용 등 채용시험에 의한 임용과 개방형wkqtkdtlr.tistory.com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제7조(고위공무원단후보자) ① 제9조에 따른 역량평가를 통과한 사람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고위공무원단후보자가 된다. 먼저, 고위공무원단후보자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려면, 당연하게도 고위공무원단 후보자는 누가 되는 것인지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한다. 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고위공무원이 되.. 2024. 4. 2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