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학 이야기21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함수의 극한의 성질과 연속함수의 성질, 문제 풀이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2025. 11. 14.) 이전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385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함수의 극한이란? 좌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2025. 11. 14.)이전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382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wkqtkdtlr.tistory.com┃함수들의 극한이 각각 존재한다면, 이를 더한 함수의 극한도 존재한다. 먼저 극한이 존재하는 두 개의 함수 f(x), g(x)가 다음을 만족한다고 가정하자. $$ \.. 2024. 12. 31.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함수의 극한이란? 좌극한, 우극한 그리고 연속함수가 갖는 의미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2025. 11. 14.)이전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382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수열의 극한이란? 그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2025. 11. 14.)이전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381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wkqtkdtlr.tistory.com ┃함수안에서 수열을 만들어보자이전 포스팅에서 정의했던 함수의 극한을 다시 한번 살펴보자. $$ x가 한없이 a에 가까워질 때, f(x)가 한없이 L에 가까워지면,\;.. 2024. 11. 22.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수열의 극한이란? 그리고 극한의 의미는?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2025. 11. 14.)이전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381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함수와 수열이란?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2025. 11. 14.)우리가 지수의 개념을 자연수 → 유리수로 확장 을 한 것처럼, 함수도 지수의 개념과 같이 자연수 → 실수로 확장(엄밀한 개념으로는 정의wkqtkdtlr.tistory.com┃수열의 극한이란? 우선 극한을 설명하면서 다루는 내용은 교육과정 외의 내용이므로, 이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가볍게 읽을 수 있을 만큼만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교육과정 수학Ⅱ에서 극한을 어떻게 정.. 2024. 11. 17.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함수와 수열이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2번 (2025. 11. 14.)우리가 지수의 개념을 자연수 → 유리수로 확장 을 한 것처럼, 함수도 지수의 개념과 같이 자연수 → 실수로 확장(엄밀한 개념으로는 정의역을 정의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는데, 자연수 쪽을 수열, 실수 쪽을 함수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그렇다면 우선 중학과정에서 살짝 다루었던 함수와 수열이란 도대체 무엇인지부터 살펴보자. ┃함수란 무엇인가?우리는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생각보다, 많은 수들의 관계속에서 살아간다. 예를 들어 A지역의 출산율을 파악한다고 가정해보면$$ A지역 \; 출산율 \; = \; \frac{신생아 \; 수}{가임여성 \; 수} $$로 나타낼 수 있는데, 가임여성의 수는 사실상 나이에 따른 인구수이기에, 조.. 2024. 11. 17.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1번 문제 풀이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영역 1번 (2025. 11. 14.) 지난 포스팅에서 중학과정에서 배우는 지수법칙을 정수, 유리수로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이야기는 지난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지수법칙의 확장 (자연수 → 정수) : https://wkqtkdtlr.tistory.com/373지수법칙의 확장 (정수 → 유리수) : https://wkqtkdtlr.tistory.com/376 9월 모평 1번 풀이 : https://wkqtkdtlr.tistory.com/377┃이번에도 정의를 이용해서 먼저 풀어보자.지수에 세제곱근과 1/3이 보였다면, 그 지수가 유리수이므로, 지난번에 강조했던 바와 마찬가지로, 그 밑이 0보다 큰 수여야 한다는 전제를 반드시 떠올려야 한다... 2024. 11. 15.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9월 모평 1번 문제 풀이와 답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2024. 9.) 이전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이전 내용을 읽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https://wkqtkdtlr.tistory.com/376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9월 모평 1번 문제, 제곱근의 개념과 지수의 확장(정수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2024. 9.) 지난 포스팅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반드시 읽고 오시기 바랍니다.  중학생이 풀어보는 수능 수학 - 2025학년도 9월 모평 1번 문제, 거듭제곱wkqtkdtlr.tistory.com┃지금까지의 정의를 통해서 문제를 풀어보자 우리는 지금까지의 포스팅을 통해 p가 유리수 일 때, a의 p승과 루트에 대해서 정의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이 정의.. 2024. 11.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