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무원 이야기190

공무원의 보수 - 연봉제에서 연봉제로의 승진 시 연봉 책정 공무원보수규정 제37조 제2항(승진 시 등의 연봉 책정) 공무원이 봉급을 연봉으로 받는 직위로 애초에 신규채용이 되거나, 원래 호봉제였는데 승진해서 연봉제 공무원이 된 경우까지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애초에 연봉제 공무원이 승진을 한 경우 연봉을 어떻게 새로 책정하는가에 관한 이야기이다.  공무원보수규정제37조(승진 시 등의 연봉 책정) ② 성과급적 연봉제 적용대상 공무원이 승진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따른 금액을 기본연봉에 가산한다. 이 경우 치안정감부터 경정까지의 경찰공무원과 소방정감부터 소방령까지의 소방공무원은 각각 1급부터 5급까지의 공무원으로 본다.연봉제 공무원이 승진을 한 경우에는 각 호의 따른 금액을 기본연봉에 가산한다고 하는데, 이때 가산하는 금액을 "계급별 승진가급" 이라고 표현한다. 계.. 2024. 8. 26.
공무원의 보수 - 호봉제에서 연봉제로의 승진 시 연봉 책정 공무원보수규정 제37조(승진 시 등의 연봉 책정) 봉급 계산 방법 등이 이전 포스팅과 겹치는 부분이 많으므로 해당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252 공무원의 보수 - 신규채용 시의 연봉 책정, 연봉 계산 예시공무원보수규정 제36조(신규채용 시의 연봉 책정) 이전 포스팅과 관계되는 내용이 많으므로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247 공무원의 보수 - 연봉제의 구분 및 연봉, 연봉wkqtkdtlr.tistory.com이번엔 신규채용이 아닌 호봉제 공무원이 승진으로 인해 연봉제 공무원으로 전환되는 경우 어떻게 연봉을 책정하는지에 관한 이야기이다. 먼저 이를 따로 구분한 가장 큰 이유는 연봉제로 전환하는 기.. 2024. 8. 24.
공무원의 보수 - 신규채용 시의 연봉 책정, 연봉 계산 예시 공무원보수규정 제36조(신규채용 시의 연봉 책정) 이전 포스팅과 관계되는 내용이 많으므로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247 공무원의 보수 - 연봉제의 구분 및 연봉, 연봉한계액공무원보수규정 제5장의2 연봉제 공무원보수규정제33조(연봉제의 구분 및 적용대상) 연봉제의 구분 및 그 적용대상 공무원은 별표 31에 따른다. 다만, 별표 31에 규정된 공무원이 아닌 사람이 연wkqtkdtlr.tistory.com연봉제는 고정급적 연봉제와 성과급적 연봉제로 나뉜다고 전 포스팅에서 설명하였다. 고정급적 연봉제의 경우에는 사실 변동이 없이 별표 32에서 정한 금액대로 지급하기 때문에 신규채용 시의 연봉 책정이라고 다를 것이 없다. 그냥 정한 금액대로 지급하면 되니까 .. 2024. 8. 22.
공무원의 보수 - 연봉제의 구분 및 연봉, 연봉한계액 공무원보수규정 제5장의2 연봉제 공무원보수규정제33조(연봉제의 구분 및 적용대상) 연봉제의 구분 및 그 적용대상 공무원은 별표 31에 따른다. 다만, 별표 31에 규정된 공무원이 아닌 사람이 연도 중에 별표 31에 규정된 공무원으로 승진하는 경우에는(1월 1일에 승진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승진한 다음 연도부터 적용한다.이 글을 시작하기 전에 아래 별표 31을 살펴보자연봉제를 택하고 있는 공무원은 위와 같이 총 3종류로 분류된다. 고정급적, 성과급적, 직무성과급적 연봉제로 나누며, 별표 3 비고를 적용받는 4급(상당) 공무원(교섭단체정책연구위원, 국회의원 보좌관) 및 5급(상당) 공무원(국회의원 비서관) + 우정직, 교원(단, 국립대학의 장을 제외한 국립대학의 교원은 성과급적 연봉제 적용), 군인, 국가정.. 2024. 8. 21.
공무원의 보수 - 봉급 관련 기타사항 2편 공무원보수규정 제26조 내지 제29조 - 봉급의 감액 공무원 보수 지침에는 봉급이 감액되는 경우를 총 5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1. 징계처분기간의 보수 감액 공무원보수규정제26조(징계처분기간의 보수 감액) ① 징계처분에 따른 보수의 감액은 「국가공무원법」 제80조 등에 따른다.② 징계처분기간 중에 있는 사람이 징계에 관하여 다른 법령을 적용받게 된 경우에는 징계처분 당시의 법령에 따라 보수를 감액 지급한다.국가공무원법 제80조에는 징계의 효력과 그에 따른 보수 지급 기준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강등 :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3개월의 보수를 전액 감한다정직 : 보수를 전액 감한다감봉 : 보수의 1/3을 감한다 2. 결근기간의 봉급 감액 공무원보수규정제27조(결근기간 등의 봉급 감액) ① 결근한 사람으로.. 2024. 8. 19.
공무원의 보수 - 봉급 관련 기타사항 1편 공무원보수규정 제6조(강임 시 등의 봉급 보전) 본인이 강임이 되었다면, 강임된 금액으로 봉급을 받는 것이 원칙이겠다. 예를 들어 7급 8호봉이 8급으로 강임되었다면, 원칙대로라면 8급 9호봉이 될 것이다. 봉급표를 보면 알겠지만, 기본적으로 위와 같이 강임되면 봉급은 당연히 떨어지게 설계가 되어있다.(7급 8호봉 - 2,735,100원 // 8급 9호봉 - 2,551,700원) 공무원보수규정제6조(강임 시 등의 봉급 보전) ① 강임된 사람에게는 강임된 봉급이 강임되기 전보다 많아지게 될 때까지는 강임되기 전의 봉급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한다.이 경우 강등이 아닌(징계가 아닌) 강임된 사람에게만큼은 강임된 후 호봉이 올라 애초에 강임되기 전 봉급액보다 많아지기 전까지는 그 강임되기 전 봉급액만큼의 금액을.. 2024.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