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77

[OCTOPATH TRAVELER 1] 옥토패스 트래블러 1 - 성화의 수호자(보스) 이전 글 참고https://wkqtkdtlr.tistory.com/176 (원초의 동굴) [OCTOPATH TRAVELER 1] 옥토패스 트래블러 - 원초의 동굴이전 글 참고 https://wkqtkdtlr.tistory.com/173 (플레임그레이스 → 원초의 동굴) [OCTOPATH TRAVELER 1] 옥토패스 트래블러 1 - 플레임그레이스 → 원초의 동굴이전 글 참고 https://wkqtkdtlr.tistory.com/167 (오필리wkqtkdtlr.tistory.com성화 앞에 선 오필리아, 성화를 지키는 자로부터의 목소리가 들린다. 원초의 불꽃을 수호하는 자, '성화의 수호자'가 보스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잘 성장해 왔다면, 사이러스가 많이 강해져서 사실 보스 자체는 무난하게 클리어가 가능하.. 2024. 7. 18.
공무원의 임용 - 필수보직기간 공무원임용령 제45조(필수보직기간의 준수 등) 행정의 전문화가 하나의 국정과제일 정도로 개인의 역량을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제도적으로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면 아무 의미가 없다. 특히 인사교류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반직 공무원의 경우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면, 해당 직위가 너무 어렵고 힘들다는 이유로 매번 공무원들이 바뀌어 나가면, 해당 직위 관련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사람이 없게 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로 돌아온다.  공무원임용령제45조(필수보직기간의 준수 등) ① 임용권자 또는 임용제청권자는 소속 공무원을 해당 직위에 임용된 날부터 필수보직기간(휴직기간, 직위해제처분기간, 강등 및 정직 처분으로 인하여 직무에 종사하지 않은 기간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이.. 2024. 7. 17.
공무원의 임용 - 직위유형별 보직관리, 전문직위 지정 및 전문관 공무원임용령 제43조의3(직위유형별 보직관리 및 전문직위의 지정 등) 아래 포스팅에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함께 보시길 추천드립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180 공무원의 임용 - 분야별 보직관리, 전문 업무분야공무원임용령 제43조의2(분야별 보직관리) 지난 포스팅에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아래 포스팅을 반드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179 공무원의 임용 - 보직관리(전보)공무원임wkqtkdtlr.tistory.com보직관리의 두번째 방법인 직위유형별 보직관리, 실무적으로는 전문관(전문직위)을 통한 보직관리 방식을 의미한다. 위에서 살펴 본 분야별 보직관리와 달리, 이 제도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위와 달리 모든 직급의 공무.. 2024. 7. 15.
공무원의 임용 - 분야별 보직관리, 전문 업무분야 공무원임용령 제43조의2(분야별 보직관리) 지난 포스팅에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아래 포스팅을 반드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179 공무원의 임용 - 보직관리(전보)공무원임용령 제43조(보직관리의 기준) 공무원의 임용 파트는 공무원 아닌 자가 공무원이 되거나(신규채용), 같은 자리에서 직급만 달라지거나(강임, 승진), 다른 자리도 같이 하거나(겸임, 파견wkqtkdtlr.tistory.com보직을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분야별로 관리하는 방법과, 직위유형별로 관리하는 방법 두 가지로 나뉜다. 그 중 이번 포스팅에서는 분야별 보직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공무원임용령제43조의2(분야별 보직관리) ① 소속 장관은 3급 또는 4급의 복수직급 직위에 보직된 3급 공무원 .. 2024. 7. 14.
공무원의 임용 - 보직관리(전보) 공무원임용령 제43조(보직관리의 기준) 공무원의 임용 파트는 공무원 아닌 자가 공무원이 되거나(신규채용), 같은 자리에서 직급만 달라지거나(강임, 승진), 다른 자리도 같이 하거나(겸임, 파견), 다른 자리로 아예 가거나(전보), 자리에서 잠시 또는 아예 물러나거나(휴직, 퇴직)로 이루어진다. 이 중 우리는 이번부터 "전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다만, 전보란 위의 설명에서도 적었듯이, 다른 자리로 아예 가버리는, 법률 용어로 '보직을 변경' 한다는 의미이므로, 전보에 관해서 이야기하기 전, 보직이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전보의 의미를 정확히 설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보에 들어가기 전 보직관리에 대해서 조금 다루고 이야기를 진행하고자 한다.  국가공무원법제.. 2024. 7. 13.
공무원의 임용 - 파견으로 인한 결원 보충 공무원임용령 제42조(파견 등으로 인한 결원 보충) 아래 포스팅의 내용에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반드시 아래 포스팅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https://wkqtkdtlr.tistory.com/174 공무원의 임용 - 파견근무국가공무원법 제32조의4(파견근무) 겸임에 이어, 공무원을 다른 기관 등에 임용시켜 근무하는 방식 중 하나인 파견근무에 관한 내용이다.국가공무원법제32조의4(파견근무) ① 국가기관의 장은wkqtkdtlr.tistory.com공무원임용령제42조(파견 등으로 인한 결원 보충) ① 파견기간이 1년(제41조제1항제4호에 따른 파견의 경우에는 6개월) 이상인 경우에는 법 제43조제3항에 따라 그 파견하는 직급이나 고위공무원단 직위에 해당하는 정원이 따로 있는 것으로 보고 결원을 보충할 수 있다... 2024. 7.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