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이야기

[벳푸] とよ常(토요츠네), 텐동과 카보스부리동을 먹을 수 있는 음식점, 오이타의 명물 카보스부리를 먹어보자.

by KatioO 2025. 3. 24.
728x90
728x90

토키와 백화점에서 바다 쪽으로 더 들어가면, とよ常(토요츠네)라는 음식점이 있다. 벳푸역 앞에도 있어서 총 2개의 토요츠네가 있는데, 토키와 백화점 쪽이 본점이다. 구글에서는 "토요츠네 본점"이라고 검색하면 된다. 

리는 벳푸역 앞 슈퍼호텔에서 지냈기 때문에, 토키와 백화점 그리고 토요츠네 본점까지도 걸어갈 수 있었다. 벳푸역에서 걸어도 10분 정도면 충분히 도착했을 듯

만약 차를 가지고 먼 곳에서 온다고 하더라도 주차장은 있다. 토요츠네 건물 뒤쪽이 아니라 30m정도 더 나아가면 토요츠네 주차장이 있으니 주의. 주소로 찍고 온다면 2-chōme-13-11 Kitahama

구글에서 가지고 왔다. 메뉴판을 보면 꽤나 다양한 종류로 음식을 팔아서, 그냥 가면 선택이 힘들 수 있다. 가서는 몰랐는데, 구글에서 살펴보니 한국어 메뉴도 있었던 듯하다...

 

위에 인기(人氣) 1번 메뉴는 텐동(天丼)이다. 텐동 뒤에 盛이라는 한자는 음식을 많이 쌓은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한자이다. "特盛 → 많이 쌓았다, 特々盛 = 特特盛 → 진짜 많이 쌓았다" 정도로 해석하면 되는데, 결국 새우튀김의 개수 차이이다. 3개면 1,228円, 4개면 1,555円이다. 

 

아래 인기 2번 메뉴는 穴子丼 = 아나고동으로 붕장어이고, 1,300円이다. 살짝 분홍색 배경으로 되어있는 것이 새우튀김 1개 추가 328円, 밥 추가 91円이므로, 붕장어 덮밥에 새우튀김 하나를 추가하고 싶으면 1,628円에 먹을 수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붕장어를 굳이... 그냥 위의 1번 메뉴인 에비텐동을 추천

 

오른쪽은 점심 한정 메뉴랑 특선요리인 것 같다. 하지, 이것보다 내가 추천하고 싶은 메뉴는 따로 있는데, 

(먹느라 바빠서 메뉴판 사진을 찍지 못함... 구글 사진으로...)

바로 かぼすぶり丼(카보스부리동)이다. 카보스는 일본의 청귤 종류 중 하나인데, 맛이 귤과 유자의 중간 정도라고 한다. 이 카보스가 오이타현에서 유명하다. ぶり[鰤]는 방어라는 뜻. 카보스부리는 결국 청귤 종류 중 하나인 카보스 + 방어라는 합성어인데, 방어에게 카보스를 먹여서 육질을 탄탄하게 만들고 풍미를 끌어올린 방어로, 오이타현에서 주로 양식한다. 결국 이 지역 특산물이라도 봐도 무방하다. 계절+수량한정 메뉴이지만, 생각보다 빨리 품절되는 것 같지는 않다. 우리가 저녁 8시쯤에 물어봐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했으니

쉽게 말하면 녹차 먹인 돼지랑 비슷한 개념이 아닐까. 카보스 먹인 방어와 양배추가 같이 올라오는데, 딱히 간장이나 타래를 뿌리지 않아도 이것만으로도 꽤 괜찮은 맛을 낸다. 일본에서 외식을 할 때마다 느끼지만, 텐동이든 뭐든 기본적으로 일본은 밥 그 자체가 평타 이상을 한다. 그러니 위에 무엇을 얹어도 극상의 맛은 아닐지라도 어느정도의 만족감은 항상 낸다. 이것도 마찬가지. 방어가 뭐 카보스를 먹였다고 아주 특별하게 달라보이는 맛은 아니다. 그렇지만 밥 자체가 맛있다보니 2,000円을 주고 먹어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다

와이프는 텐동을 시켰다. 텐동도 아주 특별하다는 맛은 아니다. 그래도 와이프의 총평을 빌리자면, "굳이, 먹을 곳을 특별히 정하지 않았다면, 내일 다시 와도 괜찮을 맛이다." 란다. 실제로 내일 가려고 했던 곳이 예약이 끝나서 못 가게 되자 한 말이다.

 

하나 단점이 있다면, 아사히 생맥주가 없다는 것?

구글에서 보면, 토요츠네 쪽에서 샤브샤브 세트도 개시한다고 한다. 관심이 있다면 이 메뉴도 드셔보시길...

 

위치는 아래 참고

 

[구글 지도]

토요츠네 본점

お食事処 とよ常 別府本店

2 Chome-12-24 Kitahama, Beppu, Oita 874-0920 일본

https://maps.app.goo.gl/RJssKWiFWveh6bCr9

 

토요츠네 본점 · 2 Chome-12-24 Kitahama, Beppu, Oita 874-0920 일본

★★★★☆ · 일본 음식점

www.googl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