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이야기

공무원의 보수 - 강임·강등에 따른 호봉획정

by KatioO 2024. 8. 6.
728x90
728x90

공무원보수규정 제12조(강임·강등 시의 호봉 획정)

 

지난 포스팅에서는 승진시 호봉을 획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강임·강등에 의한 호봉 획정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공무원보수규정
제12조(강임ㆍ강등 시의 호봉 획정) 
① 일반직공무원, 공안업무 등에 종사하는 공무원, 연구직공무원, 지도직공무원 또는 경찰ㆍ소방공무원 등(별표 3, 별표 4 부터 별표 6 까지, 별표 8 또는 별표 10의 봉급표를 적용받는 공무원을 말한다)이 강임되는 경우에는 강임된 계급에서의 호봉을 획정한다.

강임은 승진의 역순이다. 승진시에도 승진 후 계급에서 호봉을 획정하듯이, 강임도 강임된 계급에서의 호봉을 따로 획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승진과 마찬가지로, 강임이 되면 호봉 획정 발령도 따로 다시 난다. 

공무원보수규정
제12조(강임ㆍ강등 시의 호봉 획정) 
② 강임된 계급에서의 호봉 획정은 별표 28에서 정하는 승진 후 호봉을 강임되기 전의 계급의 호봉으로 보고 이에 해당하는 승진 전 호봉을 강임되는 계급의 호봉으로 획정한다. 이 경우 강임되는 계급에서 획정되는 호봉이 2개 이상이면 그 중 가장 높은 호봉으로 획정한다.

강임은 승진의 역순이다. 이를 또다시 강조하는 이유는 승진시 호봉 획정 포스팅에서 살펴보았던 별표 28의 내용도 그대로 역순으로 가지고 온다. 승진 후의 호봉을 강임 전 호봉으로 보고 승진 전 호봉을 강임 후 호봉으로 보면 된다. 즉, 표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간다고 이해하면 된다. 

 


공무원보수규정
제12조(강임ㆍ강등 시의 호봉 획정)
③ 제2항에 따라 강임된 계급에서의 호봉을 획정할 때 강임되는 공무원이 강임일 현재 강임 전의 계급에서 호봉에 반영되지 아니한 잔여기간이 12개월 이상인 경우에는 제13조에도 불구하고 강임일에 강임 전의 계급에서 승급시킨 후에, 강임된 계급에서의 호봉을 획정한다. 이 경우 승급발령은 하지 아니하며 강임된 계급에서의 호봉 획정으로 갈음한다.

강임시의 호봉 획정은 다음의 절차를 거친다. 

 

1. 강임일 현재 강임되기 전 계급에서의 호봉승급여부 검토(잔여기간 12월 이상 여부 확인)

2. 별표 28 적용(승진의 역순)

3. 강임 전 계급의 호봉에 반영되지 않은 잔여기간 승계

 

강임의 경우는 징계에 의한 하락이 아니기 때문에(징계에 의하면 강등) 다시 강임 전 계급으로 승진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편이다. 그런데 지난 포스팅에서 연구직, 지도직의 경우 잔여기간 +6월의 특례가 있었던 것을 기억할 것이다. 이런 경우는 강임 전에 해당 계급으로 승진할 당시 혜택을 봤으므로, 강임 후 다시 돌아가는 경우에는 6월을 가산하지 않는다. 


공무원보수규정
제12조(강임ㆍ강등 시의 호봉 획정)
⑤ 제1항의 공무원이 강등되는 경우의 호봉 획정에 관하여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강임”은 “강등”으로 본다.

토씨하나 틀리지 않고 강등의 경우에도 강임의 절차와 방법을 그대로 따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