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이야기

공무원의 평가 - 가점평정, 다면평가

by KatioO 2024. 6. 20.
728x90
728x90

공무원 성과평가 등에 관한 규정 제27조, 제28조

 

평정점의 마지막인 가점과, 다면평가에 관한 내용이다. 기나긴 근평의 이야기가 끝나간다. 

공무원 성과평가 등에 관한 규정
제27조(가점평정) 
① 소속 장관은 제29조에 따른 승진후보자 명부를 작성할 때에는 직무 관련 자격증의 소지 여부, 특정 직위 및 특수지역에서의 근무경력, 근무성적평가 대상 기간 중의 업무혁신 등 공적사항, 그 밖에 직무의 특성 및 공헌도 등을 고려하여 해당 공무원에게 5점의 범위에서 가점을 부여할 수 있다. …

소속 장관은 5점의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가점부여 항목과 기준을 정하여 운영할 수 있는데, 그 항목은 보통 직무관련 자격증, 특정 직위에서의 근무경력, 특수지 근무경력 등으로 정하고 있다. 다만 가점부여 기준은 정말 기관의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그 내용을 일률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공무원 성과평가 등에 관한 규정
제27조(가점평정) 
① … 다만, 「공무원임용령」 제43조의3 제3항에 따른 전문직위에 같은 조 제4항에 따른 기간 이상 근무한 사람에 대해서는 가점을 부여하여야 한다

가점은 선택사항으로 부여하지 않을수도 있지만, -에 같은 조 제4항에서 정하는 기간 이상 근무한 공무원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점을 부여해야한다. 이 부분은 후에 전문직위에 관련된 내용에서 다시 이야기할 예정이다.

공무원 성과평가 등에 관한 규정
제27조(가점평정) 
③ 소속 장관은 제2항에 따른 가점 부여 기준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근무성적평가 대상 기간 전에 미리 그 내용을 소속 공무원에게 공개하고 의견을 수렴하여야 한다.

소속장관은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점 부여 기준이 변경되는 경우, 소속공무원들이 충분히 변경 내용을 숙지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적정기간 전에 공개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다음은 공무원성과평가지침에서 안내하고 있는 가점 평가 기준표의 예시이다. 보통의 기관들은 이 기준표를 기준으로 작성하지만, 세부내용은 다를 수 있으므로 각 기관의 인사지침을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구분 가점항목 가점 범위 부여 기준
우수성과 국민접점분야, 우수성과자,
국정과제·업무혁신 우수자 등 
1점 내 - 평정대상기간 : 0.25점
  (즉, 당해계급에서 4회 이상 받아야 만점)
전문성 직문관련 자격증 1점 내 - 당해계급 : 0.7점
- 하위계급 : 0.3점
직무특성 특정직위 근무
(자체감사, 고충처리, 전문직위, 교류 등)
1점 내 - 근무기간 : 월 0.03점
   (당해직위 1년 이상 근무시 가점 부여)
특수지 근무 1점 내 - 가, 나급 : 월 0.04점
- 다급 : 월 0.03점
- 라급 : 월 0.02점
기타 소속장관이 별도로 정하는 항목 1점 내 - 협업 활성화 기여자 등에 대하여 가점 부여 가능

공무원 성과평가 등에 관한 규정
제28조(다면평가) 
① 소속 장관은 소속 공무원에 대한 능력개발 및 인사관리 등을 위하여 해당 공무원의 상급 또는 상위 공무원, 동료, 하급 또는 하위 공무원 및 민원인 등에 의한 다면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② 소속 장관은 제1항에 따른 다면평가의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직무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ㆍ운영하여야 한다.
③ 제1항에 따른 다면평가의 평가자 집단은 다면평가 대상 공무원의 실적ㆍ능력 등을 잘 아는 업무 관련자로 구성하되, 소속 공무원의 인적 구성을 고려하여 공정하게 대표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④ 제1항에 따른 다면평가의 결과는 해당 공무원에게 공개할 수 있다.

다면평가를 실시하는 경우, 평가자 집단은 다면평가 대상 공무원의 실적, 능력 등을 잘 아는 업무유관자로 구성하며, 소속 공무원의 인적 구성을 대표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렇게 실시한 다면평가의 결과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평가대상 공무원 본인에게 다면평가 결과를 공개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