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무원임용령16

공무원의 승진 - 보통승진심사위원회의 구성, 심사 대상(승진 배수) 국가공무원법 제40조의3 제2항(보통승진심사위원회) 공무원임용령 제33조(4급 공무원과 6급 이하 공무원으로의 승진임용) ① 5급 공무원과 7급 이하 공무원(우정직공무원의 경우에는 우정4급 이하 공무원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승진임용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기관의 승진후보자 명부의 높은 순위에 있는 사람부터 차례로 임용하려는 결원 수에 대하여 별표 5의 범위에 해당하는 사람을 심사 대상으로 하여 법 제40조의3제2항에 따른 보통승진심사위원회(이하 “보통승진심사위원회”라 한다)의 승진 심사를 거쳐 임용해야 한다.부제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5급으로의 승진은 시험을 포함하고, 1~3급으로의 승진 및 고위공무원단 직위로의 승진은 따로 정하고 있어, 그 외인 4급으로의 승진과 6급 이하로의 승진을 우.. 2024. 6. 3.
공무원의 승진 - 승진임용의 제한 공무원임용령 제32조(승진임용의 제한) 승진소요최저연수가 승진을 위한 최소의 조건이었다면, 이번에는 승진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공무원이 승진을 하기 위한 "승진후보자"가 되기 위해서는 승진소요최저연수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다음의 제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야, 그제서야 근평을 받고 승진후보자명부순위를 받을 수 있는 신분이 된다. 공무원임용령제32조(승진임용의 제한) ① 공무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승진임용될 수 없다. 1. 징계처분 요구 또는 징계의결 요구, 징계처분, 직위해제, 휴직(질병휴직 중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른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자를 제35조의2제1항제4호 또는 제5호에 따라 특별승진임용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또는 시보임용 기간 중에 .. 2024. 5. 31.
공무원의 승진 - 승진소요최저연수 3편 공무원임용령 제31조(승진소요최저연수) 제11항 내지 제15항 이전 글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공무원의 승진 - 승진소요최저연수 2편공무원임용령 제31조(승진소요최저연수) 제7항 내지 제10항 이전 글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공무원의 승진 - 승진소요최저연수 1편공무원임용령 제31조(승진소요최저wkqtkdtlr.tistory.com11항부터는 시간선택제 등 특수경우에 대한 승진연수 산정 방법에 대한 규정이다.공무원임용령제31조(승진소요최저연수)⑪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과 제57조의3에 따른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의 근무기간은 근무시간에 비례하여 제1항의 기간에 포함한다. 다만, 제57조의3에 따른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이 해당 계급에서 근무한 기간은 1년의 범위에서 .. 2024. 5. 28.
공무원의 승진 - 승진소요최저연수 1편 공무원임용령 제31조(승진소요최저연수) 제1항 내지 제6항 공무원임용령 제31조(승진소요최저연수) ① 공무원이 승진하려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 동안 해당 계급에 재직해야 한다. 공무원의 승진에 있어서(특별승진 제외) 무조건 지켜야하는 대원칙 중 하나가 바로 승진소요최저연수이다. 본인이 승진을 하고자 하는데, 이 승진소요연수를 넘기지 못하면 어떤 수를 쓰더라도 승진하지 못한다. 기본적으로 아래의 표를 따른다.직급승진소요최저연수4급, 5급3년6급2년7급, 8급, 9급1년 우정직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직급승진소요최저연수우정2급3년우정3급 ~ 우정6급1년 6개월우정7급 ~ 우정9급1년 최저승진소요연수는 말 그대로 승진을 하기 위한 최소 요건이며, 자격 조건인 것이지, 승진 점수 만점의 기준이 아니다... 2024. 5.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