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적격심사2 고위공무원의 임용 - 적격심사 결과 통보 및 처분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24조(적격심사의 의결) 지난 포스팅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아래 링크를 이용하자. 고위공무원의 임용 - 적격심사 기준 및 절차국가공무원법 제70조의2(적격심사) 먼저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의 근무성적 평정에 관한 규정을 살펴보자.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제20조(고위공무원의 근무성적평정)② 성과계약등 평가는wkqtkdtlr.tistory.com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제24조(적격심사의 의결) ④ 고위공무원임용심사위원회의 적격심사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적격 여부를 의결한다.⑤ 제4항의 의결은 별지 제2호 서식의 적격심사 의결서로 하며, 그 의결서에 적격심사의 원인이 된 사실과 판단 이유를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⑥ 인사혁신처장은 고위공무원임용심사위원회의 적격심사가 끝나면 지체 없이.. 2024. 5. 14. 고위공무원의 임용 - 적격심사 기준 및 절차 국가공무원법 제70조의2(적격심사) 먼저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의 근무성적 평정에 관한 규정을 살펴보자.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제20조(고위공무원의 근무성적평정)② 성과계약등 평가는 개인의 성과목표 달성도 등 객관적 지표에 따라 매우우수ㆍ우수ㆍ보통ㆍ미흡 또는 매우미흡 중 하나의 등급으로 한다.③ 성과평가규정 제10조제3항에도 불구하고 소속 장관은 고위공무원이 성과목표 달성 미흡, 자질 부족, 업무상 비위 또는 직무태만 등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2항에 따른 성과계약등 평가등급 중 최하위 등급인 매우미흡을 부여하여야 한다. 이 경우 성과목표 달성 미흡, 자질 부족, 업무상 비위 또는 직무태만 등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사유는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소속 장관이 정한다.인사규정 제20조에 .. 2024. 5.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