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근수당2

공무원의 수당 - 정근수당 지급을 위한 근무연수 산정, 지급 방법(2편)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 아래 포스팅 내용에서 이어집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wkqtkdtlr.tistory.com/302 공무원의 수당 - 정근수당의 의미와 요건, 지급률(1편)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정근수당) 공무원으로서 근무한다면 누구나 받는 수당 정근수당에 관해 알아보자. 정근(精勤)이라 함은 "일이나 공부 따위에 부지런히 힘씀" 이라는 뜻으로,wkqtkdtlr.tistory.com어떤 경우에 정근수당을 받고, 그 비율은 어떻게 산정하는지 다 알았다면, 정근수당을 계산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번에는 정근수당의 요건은 모두 만족한다는 가정하에 그 지급률은 어떻게 구별할 것인지에 관한 이야기이다.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제7조(정근수당)④ 제1항과 제3항.. 2024. 9. 11.
공무원의 수당 - 정근수당의 의미와 요건, 지급률(1편)(25. 1. 3. 개정)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정근수당) 공무원으로서 근무한다면 누구나 받는 수당 정근수당에 관해 알아보자. 정근(精勤)이라 함은 "일이나 공부 따위에 부지런히 힘씀" 이라는 뜻으로, 그간의 근로 노고를 치하하는 의미의 수당이다. 그렇기때문에 반대로 "근무하지 않은 자에게 지급하지 않는 수당" 이기도 하다.  정근수당의 지급금액은 자신이 근무한 연수에 따라 다르지만, 그 금액은 근무한 연수가 갔다면 누구에게나 일정한 비율로 지급한다. 정근수당에서 논쟁이 되는 건 금액적인 부분보다는 바로 "근무하지 않은 자"를 어떤 기준으로 선별하냐의 문제이다.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제7조(정근수당) ① 공무원에게는 예산의 범위에서 근무연수에 따라 매년 1월과 7월의 보수지급일에 별표 2의 지급 구분에 따라 다음.. 2024. 9.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