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당지급방법4

공무원의 수당 -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의 수당 지급 방법(25. 1. 23. 개정)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22조(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및 시간선택제근무를 하는 공무원에 대한 수당등의 지급) 「공무원임용령」에 따르면, 일부 공무원은 하루 8시간보다 적은 시간을 근무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봉급도 근무 시간에 비례해서 받게되지만, 수당은 일반 공무원과 같은 수준으로 받게 되면, 적게 일하고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봉급이 조정되는만큼 수당도 시간선택제공무원에게는 근무시간에 비례하여 지급하는 것이 상식적인 공평일 것이다.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제22조(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및 시간선택제근무를 하는 공무원에 대한 수당등의 지급) ① 「공무원임용령」 제3조의2 제3호에 따른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에게 지급하는 수당등은 …, 「공무원임용령」 제3조의3 …(등등).. 2025. 1. 20.
공무원의 수당 - 연가·병가·특별휴가자의 수당 지급 방법, 임기제공무원의 수당 지급 방법, 연봉제공무원의 수당 지급 방법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9조(수당등의 지급방법) 지금까지 살펴본 근무상황의 변화에 따른 수당 지급방법에 대한 이야기는, 대체로 기간이 조금 있는 편인 휴직, 출장, 파견이었다. 다만, 보수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상황의 변화는 꼭 이와 같은 장기간의 변화만 있는 것이 아니다. 하루를 쉬어도 보수가 달라지는 무급휴가도 있으며, 연단위 기준으로는 퇴직도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갖가지 상황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자 한다.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제19조(수당등의 지급방법)⑥ 연가ㆍ병가ㆍ공가ㆍ특별휴가 및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기간 중에는 이 영에서 정한 수당등을 지급한다. 다만, 성과상여금의 지급에 대해서는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기준에 따르며, 무급인 특별휴가에 대해서는 특수지근무수.. 2025. 1. 13.
공무원의 수당 - 출장 근무자의 수당 지급방법(관내출장, 관외출장, 국외출장), 결근한 공무원의 수당 지급방법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9조(수당등의 지급방법) 파견과 출장은 모두 자신의 직장에서 벗어나서 업무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임용의 절차, 직제편성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파견이라고 해서 반드시 장기간을 편성해야 하는 것도 아니며, 출장이라고 반드시 단기간만 가는 것이 아니다. 하물며 교육을 위해 타기관으로 가는 경우에도 교육파견, 교육출장이 있다. 파견과 관련해서는 우리 블로그에서 한번 다룬 적이 있지만(해당 포스팅), 출장은 아직 다룬 적이 없으므로 이후 여비 파트 등에서 다룰 때 살펴보기로 하고, 우선은 출장으로 근무의 변화가 생긴 공무원에게 다른 수당들을 어떻게 지급할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도록 한다. 파견근무자의 수당과 관련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https://wkqtkd.. 2025. 1. 4.
공무원의 수당 - 휴직자의 수당 지급 방법(휴직 종류에 따라)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9조(수당등의 지급방법) 지난 포스팅에 이어 자신의 근무 상황 변동에 따른 수당 지급 방법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징계 관련 처분에 따른 수당의 변화는 지난 포스팅을 참고https://wkqtkdtlr.tistory.com/406 공무원의 수당 - 직위해제처분, 징계처분 받은 자의 수당 지급 방법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9조(수당등의 지급방법) 지금까지 총 46개의 포스팅에 걸쳐 각 수당들의 지급이유와 지급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다. 맨 처음 수당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할wkqtkdtlr.tistory.com징계가 아니더라도 공무원들이 직무를 오랜기간동안 벗어나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휴직이다. 휴직은 징계와 달리 특수한 목적을.. 2024. 12.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