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위공무원단선발시험3 고위공무원의 임용 - 선발시험위원회의 시험 방식, 합격자 결정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4조의2(시험위원회의 구성·운영) 고위공무원단 선발시험위원회 구성, 운영에 이어지는 내용이므로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고위공무원의 임용 - 선발시험위원회 구성, 운영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4조의2(시험위원회의 구성·운영) 고위공무원이 되려면 정말 위원회를 몇 개를 거쳐야 하는지도 기억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이번엔 시험을 실시했으니 그 시험을 운wkqtkdtlr.tistory.com 위원회 구성까지 마쳤다면, 본래의 업무인 시험을 실시한다. 시험의 방법에 대해서 응시자의 입장에서는 해당 포스팅에서 다루었고, 이번의 시험에 관한 이야기는 위원회의 입장에서 준비할 것들을 이야기한다. 먼저, 소속 장관은 응시자의 자격 및 직무 수행 요건 등 심사절차, 평가요소별 질문내용 .. 2024. 5. 6. 고위공무원의 임용 - 시험의 방법, 시험의 응시요건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3조(일반직 고위공무원의 경력경쟁채용등의 요건), 제14조(일반직 고위공무원의 경력경쟁채용시험등의 방법) 제13조는 조문 부제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일반직 고위공무원 → 고위공무원단으로 채용하는 것이므로, 형식은 경력직의 채용과 같다. 그렇기에 경력경쟁채용을 다룬 「국가공무원법」 제28조(이하 "경채 규정")를 기본적으로 따르고 있다. 따라서 아래 포스팅을 반드시 읽어보길 바란다. 공무원의 임용 - 경력경쟁채용시험(경채)국가공무원법 제28조 제2항(경력경쟁 신규채용) 국가공무원법 제28조(신규채용)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경력 등 응시요건을 정하여 같은 사유에 해wkqtkdtlr.tistory.com「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3조에.. 2024. 5. 2. 고위공무원의 임용 - 선발시험 총칙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 제13조 내지 제15조 지금부터는 선발시험에 관한 내용으로 많이 복잡해진다. 기본적으로 조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4조(일반직공무원 시험), 제14조의5(임기제공무원 시험), 제15조(별정직공무원 시험)으로 시험의 대상에 따라 그 방법을 나누어 놓았으며, 이 시험을 볼 수 있는 요건 또한 제13조, 제13조의2의 각 호로 구분해 놓았다. 따라서 우선 시험의 전반적인 내용을 먼저 언급하고 이후 각각의 시험의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국가공무원법제28조(신규채용)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경력 등 응시요건을 정하여 같은 사유에 해당하는 다수인을 대상으로 경쟁의 방법으로 채용하는 시험(이하 “경력경쟁채용시험”이라 한다)으로 공무원을 채용할 .. 2024. 4. 30. 이전 1 다음 반응형